티스토리 뷰

이전 글에서 어떤 식품이 정자 질에 영향을 주는 지와 남성 난임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정자의 질에 악영향을 주는 원인이 생각보다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었는데요, 이외에도 정자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핸드폰의 전자파, 야식이 잦은 생활습관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요즘 우리 일상생활에 핸드폰이 차지하는 비율이 굉장히 높아졌는데요, 지인과의 연락뿐 아니라, 회사에서도 거래처와의 연락, 스케줄 관리, 메일 확인 등의 업무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 핸드폰 없이 생활하기는 점차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핸드폰이 정자의 질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핸드폰의 전자파가 정자 수, 정자의 운동성 등 정자의 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매일 가지고 생활하는 휴대폰의 방사선이 정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핸드폰에 대한 정자의 질 변화에 대해 분석했는데요, 여러 연구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1. 핸드폰을 바지나 벨트에 소지하는 남성이 인체의 다른 부분에 소지하는 남성에 비해서 정자 운동성이 6% 이상 떨어지며 우량 정자수가 11% 적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Kilgallon 2005)

정자 운동성에 변화를 주는 여러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18~35세의 남성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고, 여러 신체적, 라이프스타일 요소 역시 정자의 운동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그 중 놀라운 사실은 바지 주머니 혹은 벨트 근처에 핸드폰을 소지한 남성이 다른 곳에 핸드폰을 소지한 남성보다 낮은 정자 운동성을 보였습니다. (49.3±8.2% vs 55.4±7.4%). , 고환 가까이에 핸드폰을 보관하면 정자 농도와 운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2. 핸드폰의 지나친 사용은 정자 수를 감소시키고 남성의 정자 질을 떨어트려 불임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핸드폰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Gutschi 2011)

불임 클리닉에 참석한 평균 나이 31.6 ± 6.6세 남성 2,110명을 대상으로 정액을 분석하여 휴대전화 사용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한 환자보다 기형정자증 (비정상 정자 모양) 진단의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핸드폰 사용하지 않은 그룹: 27.7%, 핸드폰 사용 그룹: 45.3%). 또한, 빠른 진행형 운동성을 가진 정자 세포의 비율이 핸드폰을 사용하는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점을 알 수 있습니다. (23.98% vs 25.19%).

 

3. 핸드폰의 전자파 노출은 정자 운동성을 감소시키고 산화성 스트레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휴대폰 사용량과 비정상적인 정자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La Vignera 2012)

휴대폰에서 방출된 RF-EMR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이 다른 장기와 기구에 미칠 수 있는 손상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다양한 시간동안 휴대폰 RF노출에 대한 쥐, 생쥐 및 토끼를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그 결과는 RF-EMR이 정자 수와 운동성을 감소시키며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추가 연구에서는 인체 임상 시험이 이뤄졌으며 그 결과는 RF-EMR에 노출된 사람의 정상 정자는 운동성 감소, 형태의 이상,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켰습니다.

 

 3개 논문을 종합하여 리뷰하면,

  1. 핸드폰의 지나친 사용은 정자 수 감소를 야기시킨다.

  2. 핸드폰 사용은 정자 수, 정자의 운동성에 악영향을 준다.

  3. 핸드폰을 바지나 벨트 근처 즉, 고환 근처에 소지하면 정자 농도와 운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4. 남성 정자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핸드폰의 적절한 시간이 필요하다.

 

참고논문: Kilgallon, Sarah J, and Leigh W Simmons. “Image content influences men's semen quality.” Biology letters vol. 1,3 (2005): 253-5. doi:10.1098/rsbl.2005.0324

Gutschi, T., Mohamad Al-Ali, B., Shamloul, R., Pummer, K., & Trummer, H. (2011). Impact of cell phone use on men’s semen parameters. Andrologia, 43(5), 312–316.

La Vignera S, Condorelli RA, Vicari E, D'Agata R, Calogero AE. Effects of the exposure to mobile phones on male reprodu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ndrol. 2012 May-Jun;33(3):350-6.